삼각대의 균형

2407 시즌 - 책 <인간의 조건>
경비병
2024-09-18 19:40
전체공개

인간의 조건인 노동, 작업, 행위를 나의 삶과 현대에 빗대어 생각해 보자. 고대 그리스에서는 사유 다음으로 행위를 가장 중요하게 여겼고, 지금은 노동의 영역이 대부분을 집어삼킨 것으로 보인다. 과연 인간의 조건이 균형이 잘 맞는 시대가 있었을까? 균형이 잘 맞는 것을 시각적으로 생각하면 3개의 다리가 균형을 이룬 삼각대로 볼 수 있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도 노예들에게 노동 측면을 넘기면서 다리 하나를 잃었다. 현대는 작업과 행위라는 두 개의 다리가 짧아져 삼각대가 거의 꼬꾸라진 상태다. 나 자신의 삼각대는 어떻게 균형을 유지할 수 있을까? 

작업과 행위를 되찾으려면 노동이 어떻게 그것들을 집어삼켰는지 이해해야 한다. 노동이 삶의 필연적인 것을 해결하려고 하는 거라면 1차원 적으로는 채집하고 수확하고, 요리하고, 거처를 마련하는 등이 될 수 있다. 그런데 화폐가 생기고 이후에는 사적 영역의 확장으로 경제학이 생기면서, ‘노동’이란 것은 1차원 적인 생존 활동과 분리되어 화폐라는 매개체를 가지게 되었다. 사회가 하나의 거대한 가정처럼 분업이 생기고, 호모 파베르도 삶의 필연성을 해결하기 위해 돈을 벌려는 노동으로 편입되었다. 그래서 아렌트가 마지막 남은 것은 예술이라고 했던 것 같다. 예술은 그래도 아직 ‘값어치’보단 ‘가치’로서 많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고대 그리스에도 호모 파베르들의 작품이 필연성의 해결과 아예 관련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무슨 일이든 100% 노동 100% 작업 100% 행위는 없다. 단지 고대 호모 파베르들의 생물학적 필연성은 노예들이 안보이는 영역에서 해결해 줬기 때문에, 돈보다는 명예와 자아실현에 중점을 뒀을 것이다. 행위는 현재 영역 자체가 많이 없어졌기도 하며, 그나마 남아있는 행위들도 돈을 벌기 위한 수단들로 많이 변화되었다.

현대의 문제는 그런 작업과 행위를 꿀꺽한 노동의 비대에 있다. 필연성을 해결하는 정도를 넘어서도 노동에 에너지를 쏟는다. 그러면 필요 이상의 돈이 모이게 되고, 그것은 사치로 이어지거나 끝없는 축적으로 가게 된다. 인간의 조건 측면에서 보면 노동은 필연성을 해결하는 정도로 하고, 남은 에너지는 작업과 행위로 쓰여야 한다. 그런데 현대 사회는 자라면서 달리 진정한 ‘작업’ 과 ‘행위’ 방법에 대해 배울 곳이 없다. 그래서 잉여 자원이 생겨도 그나마 익숙한 노동에 투자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진정한 ‘작업’ 과 ‘행위’는 무엇인가? 순수한 사유로부터 나와야 한다. 왜 순수한 것을 붙였는가? (필연성을 해결하기 위해)돈을 위한 ‘작업’과 ‘행위’에도 사유가 들어갈 것이다. 그런데 잘 팔리는 것, 돈이 되는 것을 생각해야 되고 그런 방향은 순수한 사유가 아니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사유 자체가 배제될 수 있다. 단순히 복제품을 생산하거나 자극적이 말을 되풀이하는 것처럼 말이다. 이렇게 생각하면 사실 ‘작업’과 ‘행위’가 노동에 먹혔다기보다는 ‘노동스럽게 되었다’ 가 맞을 것이다. 게다가 돈을 벌기 위한 목적인 아닌 ‘작업’ 마저도, 아렌트가 말한 것 처럼 사유가 배제되고 쉼과 힐링의 목적이 되면서 ‘취미’화 되어가고 있다. 본래 진정한 작업이란 자신을 짜내고 치열하게 사유하는 것이며, 그 과정은 고통스러울 수 밖에 없다.

나는 삼각대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나는 노예를 데리고 있지 않으며, 삶의 필연성을 직접 해결해야 하기에 돈을 벌기 위한 노동이 필요하다. 또한 1차원 적인 노동 행위도 필요한데, 요리와 재배 등의 원초적인 생기를 만끽해야한다. 그리고 필연성을 해결하고 남은 에너지로는 작업을 해야하는데, 나에게는 글을 쓰는 행위가 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는 행위인데, 내게는 독서모임이 가장 순수한 행위의 장터이다. 다른 사람이 봤을 때는 ‘돈도 안되는 걸 뭐하려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우리 모임이 가지는 힘은 크다. 그 외에도 사람 사이에 크고 작은 다양한 행위들에 힘을 쏟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유’이다. 아렌트가 사유가 모든 활동을 능가한다는 이유가 있다. ‘사유’는 작업과 행위의 원천이다. 이것이 부실하면 좋은 작업과 행위도 나올 수 없다. 이 사유를 기르기 위해서는 독서가 큰 자양분이 된다. 사유가 길러지고 강해진다면 좋은 작업과 행위는 새어나오게 되어 있다. 

만약 이대로 모든 활동이 노동화 되고 잉여 자원으로 사치와 고통 없는 취미만 남는 사회(또는 개인)가 된다면, 아렌트의 말처럼 바보들의 천국이 되어버릴 것이다. 

목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