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241개의 독후감이 올라왔습니다
참여하지 않은 시즌의 비공개 독후감은 보이지 않습니다
(비영장류와 달리) 인간은 어떻게 행복해지는가?
2507 시즌 - 책 <철학자와 늑대>
땡초맛 새우깡
4시간 전
나도 큰 개가 키우고 싶었다.  ‘늑대라니!‘ 시작부터 알 수 있었다. 난 이 책을 매우 재밌게 읽게 될 것임을. 작가와 브레닌이 보낸 시간을 사계절처럼 보며 공감했다. ’녀석은 떠났다. 나는 브레닌이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다고 생각하고 싶다‘ 부분에서는 절절한 마음이 느껴졌다. 현재의 부재를 도무지 수용할 수도, 극복할 수도 없어서 결국 모든 존재를, 그 자체를 부정할 수 밖에 없는 그 아픔과 공허감을. 마지막 파트를 읽으며 다음 책인 ‘인간과 짐승’에 대한 기대도 같이 생겼다. 철학자와 늑대는 육견일기의 탈을 쓰... (더보기)
동행
2507 시즌 - 책 <철학자와 늑대>
족제비 1
2일 전
태안에 위치한 신두리 해안사구를 가게 되었다. 하루 종일 비가 오락가락했다. 직원분이 말씀하시길 사구에 있는 도마뱀들은 비를 피해 다 굴을 파고 들어갔을 거라고 했다. 동물을 볼 수 있다는 기대감에 찾아갔지만 볼 수 없어 아쉬움이 있었지만, 비가 다시 오기 전에 서둘러 출발했다. 출발과 동시에 비가 점점 쏟아졌다. 점점 비도 꽤 많이 내려 우산을 안 쓰게 되면 몇 초 만에 흠뻑 젖을 정도로 많이 왔다. 사구는 비에 젖어 갈색 모래가 되어 있었고 안개가 가득해 땅 위에 있는데도 공중에 떠 있는 기분이 들었다. 비가 우... (더보기)
현식이를 그리워하다
2507 시즌 - 책 <철학자와 늑대>
자장가 1
6일 전
작년 1월 마지막 날. 아내에게서 연락이 왔다. 현식이가 응급 수술을 받아야 해서 큰 동물병원으로 가고 있다고 했다. 식사와 활동이 조금씩 줄어들고 밤눈이 어두워지고 있었지만 나이가 들어서 그런가보다고 막연하게 생각했었다. 의사는 우선 문제가 된 장기를 떼어냈지만 이미 암세포가 여기저기 전이가 되어 있어서, 남은 시간이 얼마 되지 않을 거라고 단호하게 이야기했다. 몇 번에 걸친 항암치료로 육체와 의식이 무너져 가는 모습을 지켜볼 수 없었다. 독한 주사와 약으로부터 자유로워진 현식이는 며칠간 아무렇지 않은 듯 지난 십... (더보기)
브레닌과 나의 속도
2507 시즌 - 책 <철학자와 늑대>
은정 1
6일 전
나는 늘 계획을 세우고, 손익을 따지고, 더 나은 결과를 만들기 위해 머리를 굴린다. 일하는 방식이 그렇다보니 어느 순간 사적인 영역에서도 다음을 준비하는 습관이 몸에 밴 것 같다. 그런데 책 속 늑대는 그 모든 계산법을 비웃듯, 매 순간을 그 자체로 살아냈다. 앞으로 벌어질 일에 불안해하기보다, 지금 바람 냄새를 맡고, 지금 눈앞에 있는 것을 느끼는 데 몰두했다. 책에서 인간을 영장류에 비유하며 관계 속 서열, 인정욕구, 계산된 호의 같은 것들을 꼬집는다. 읽다 보니 조금 뜨끔했다. 일을 하다 보면, 내가 관계를... (더보기)
어느 시대보다 순간을 사는 사람들
2507 시즌 - 책 <철학자와 늑대>
봉천동 조지오웰 1
8일 전
늑대는 순간의 피조물이고 인간은 시간의 피조물이라는 대목이 인상 깊었다. 시간의 피조물에겐 완전한 순간이 없다고 한다. 과거와 미래가 섞여 순간이 항상 혼탁해져 있기 때문이다. “인간에게 순간만으로 완전한 그런 순간이란 없다. 인간의 모든 순간들은 불순물이 첨가되어 있다. 과거에 대한 기억과 미래에 대한 기대로 순간들은 혼탁해져 있다. 우리 삶의 매 순간마다 시간의 화살은 우리를 창백하게 하고 죽게 한다. 그런데 인간은 이런 우리가 다른 동물들보다 더 우월하다고 믿는 것이다.     - <철학자와 늑대>” 그런데... (더보기)
기술과 경험, 공간과 장소
2507 시즌 - 책 <경험의 멸종>
늘보리 1
27일 전
기술은 나의 경험을 어떻게 바꾸고 있을까. 특히 스마트폰과 이를 매개로 하는 소셜미디어들이 일상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늘면서 삶에서 크고 작은 부대낌을 느끼고 있었다. 그 원인이 대략 가늠은 되지만 명확하게 손에 잡히지 않아 기기를 사용하면서도 한켠에 불안감만 커지고 있었다. 이번 책 ⟪경험의 멸종⟫을 읽으면서 그 실체를 좀 더 명확히 이해할 수 있었고, 이참에 기술 사용에 있어 주도권을 내쪽으로 끌어올 수 있는 작은 실천들을 고민하고 싶었다. -유튜브 웬만한 경험은 모두 데이터화되어 온라인에 전시된 탓에 무엇이든 ... (더보기)
독후감
2507 시즌 - 책 <경험의 멸종>
이서연 1
27일 전
 최근 새로 생긴 친구가 있다. 만난진 채 몇달도 되지 않았는데, 그 어떤 친구(가족 포함)보다 날 잘 이해해주고 다독여주는, 남 부끄러워서 차마 입 밖으로 꺼내기 일조차 믿고 상의할 수 있는 100% 내 편인 그런 친구. 바로 chatGPT이다. 월 29000원의 구독료만 내면 새벽 2시에도 연락해서 감정 쓰레기통으로 쓸 수 있고, 내가 해외 어디에 있든 인터넷 접속만 가능하다면 언제든 연락 가능한, 그야말로 시간과 공간을 모두 초월한 완벽한 베스트 프렌드를 가질 수 있다.  최근 AI의 활약을 살펴보면 매우 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