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총 254개의 독후감이 올라왔습니다
참여하지 않은 시즌의 비공개 독후감은 보이지 않습니다
정치학이든 민주주의든 결국 마음과 마음이 맞닿음에서 비롯된 것이 아닐까?
2407 시즌 - 책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1년 전
오늘 구의회 제334회 제1차 정례회 제5차 본회의가 열린 날이다. 엉망진창이었다. 지난주 금요일부터 후반기 의회를 이끌어나갈 의장과 부의장, 행정복지, 재정건설위원회 위원장 선거가 있었다. 국민의 힘 소속 의원들이 소위 '장(長)'을 다 차지해서 민주당 의원들이 보이콧을 했다. 고성이 오고가고 투표소에서 민주당 소속 한 의원이 나오지 않아... (더보기)
오늘도 잘 싸웠다.
2407 시즌 - 책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1년 전
-왜 민주주의에서 마음이 중요한가?
이 책을 읽고 더 잘 싸우고 싶어졌다.
‘나쁜 애국자는 비판 없이 사랑만 하는 자들과 사랑 없이 비판만 하는 자들이다.
좋은 애국자는 자기 나라와 끊임없이 사랑싸움을 한다.”
몇 년 전만 해도 나는 비판을 잘 하지 못하는 마음 근육이 약한 사람이였던 것 같다
내 마음과 상대를 들여다보지 않아서, 나를 비난... (더보기)
손
2407 시즌 - 책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1년 전
엄지(용기)
정신의학자 빅터 프랭클은 “사람이 정말로 필요로 하는 것은 긴장 없는 상태가 아니고, 보람 있는 목표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투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용기 있어야 할 수 있는 일이다. 나는 긴장된 상태가 싫었다. 긴장하면 잠이 안 온다. 걱정의 걱정이 꼬리를 물고 긍정적인 부분보다는 부정적인 부분들이 뭉게뭉게 떠오르다 꿈... (더보기)
민주주의, '긴장'과 '미완'의 미학
2407 시즌 - 책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1년 전
부제인 ‘왜 민주주의에서 마음이 중요한가'라는 부제를 보았을 때, 왜 이 시국에 ‘민주주의'일까 잠시 의아해 했다. 유례 없이 다양한 가치들이 터져나오면서 발생하는 갈등을 해결하기에 민주주의는 시대적 소명을 다한 낡은 개념은 아닌지 의구심이 들었다. 민주주의는 거대한 국가 개념과 뗄 수 없고, 기존의 국가 체제로 공동체를 묶어두는 게 좋은 ... (더보기)
민주주의는 다양성 충돌이 만드는 비효율로 생장한다
2407 시즌 - 책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1년 전
프랑켄슈타인을 읽었을 때가 생각났다. 빅터가 만든 괴물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다양성의 마지노선을 넘었다. 괴물은 받아들일 수 없는 존재였고, 동시에 혐오와 거부의 대상이었다. 많은 이들이 다양성에 대해 관대해야 한다고 말한다. 다양성의 가치를 믿고, 유지하려 노력한다. 그러나 허용할 수 있는 선을 넘으면 얘기가 달라진다. 존... (더보기)
이 와중에 마음이라니. 나에게 잘 찾아온 책 한권.
2407 시즌 - 책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1년 전
오늘만 해도 언론을 통해 37년만에 취소된 광복절 행사를 지자체 차원에서 개최한다는 소식을 만났고, 어떤 곳에서는 소녀상 철거 챌린지를 한다고 하는가 하면, 장관내정자는 세월호 참사를 재미봤다는 표현으로 폄하하는걸 접해야 했다. 국제사회에서 공중보건비상사태 선포 여부가 논의되는 엠폭스는 특정 집단에서 발생한다는 이유로 관리해야 하는 곳에서 ... (더보기)
다름이 만들어내는 세상
2407 시즌 - 책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1년 전
책에서 “우리는 다름의 가치를 인정할 줄 알아야 한다”는 말에 많은 공감이 되었다.
전 직장에 있을 때 하나의 팀을 이끌던 적이 있었다.
팀원이 늘어나면서 다양한 사람들을 마주하게 되었고 서로 일하는 스타일이나 성향이 맞지 않는 사람들도 생겼었다.
이때 서로 적으로 돌리지 않고 다름을 인정하여 서로 이해하면서 장점을 공유하고 단점을 채워주자... (더보기)
적절한 긴장, 다양성을 포용하는 삶이란
2407 시즌 - 책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1년 전
어쩌다 보니 트레바리 때도 그러했듯이 매번 반후감이다.
이번에도 딱 절반쯤 읽어 내려 간 것 같아서 조금 부끄러운 마음이다.
독서할 시간을 만드는 것은 바쁨의 차이가 아니라 집중력과 의지의 차이인 것을....
그래도 빠르고 깔끔한 문장을 적어 보려고 연구실에서 노트북을 낑낑대며 집으로 들고 왔다.
정치 이야기는 항상 마무리가 말다툼으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