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총 254개의 독후감이 올라왔습니다
참여하지 않은 시즌의 비공개 독후감은 보이지 않습니다
나에게 쓰는 격언
2407 시즌 - 책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1년 전
• 스트레스는 성장 호르몬이다. 성장통을 두려워하지 말라
• 네 마음 깊은 곳에서 나온 말을 세상에 전달하고, 세상에서 들은 말을 마음 깊은 곳에 전달하라. 너는 말하는 자이자 전달자이다. 전달자가 자신의 본분을 잊고 말하는자 행새를 한다면, 너는 세상과 단절될 것이다.
• 너 스스로가 하나의 공동체다. 안에 얼마나 다양한 자아가 있... (더보기)
정치에 대한 냉소를 바꿀 수 있을까?
2407 시즌 - 책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1년 전
아직 2장 까지 밖에 읽지 못했지만 책을 읽으면서 든 생각을 써 본다. 평소 정치나 사회 쪽 책을 많이 읽지 않는다. 많은 한국인이 그렇듯 정치에 대한 냉소적인 태도를 자신도 가지고 있다. 투표는 열심히 하고 정당에 가입해 당비도 냈었지만 딱 그 정도였다. 현실의 정치적 지형은 너무 복잡하고 각 정당이 내세우는 각기 다른 이념, 법안, ... (더보기)
무관심에 대한 반성
2407 시즌 - 책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1년 전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파커.J.파머)을 읽고 . 김재성
1.
서재를 둘러본다. 십진분류는 아니라도 끼리끼리 잘 어울려 있다. 과학 수학 시집 소설 문학평론 Newton이나 NGC와 같은 월간지... 책을 산 시기나 제목 작가 출판사 등을 보면 나의 관심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해왔는지 느껴진다. 행간의 매모나 느낌을 적어둔 걸 ... (더보기)
나도 내 뇌가 궁금하다. 기왕이면 적응이 빠른 삐딱한 뇌면 좋겠다
2407 시즌 - 책 <마인드 체인지>
1년 전
마인드 체인지 책을 읽다보니 생각할 거리가 너무 많았다. 책 여기저기에 휘갈겨 쓴 나만의 ‘저자와의 대담’(!)을 내용 별 요약 및 적어보았다. 특히 16~18장에 논의 거리가 많았다. 디지털 기술의 무분별한 사용이 괜찮은가를 논의하기 보다는, 그 모든 기술을 끌어안고 어떻게 삶에 맞춰 활용할 것인지가 더 중요하지 않을까.
(1~4장) 디지... (더보기)
뇌는 가소성이 있다고 하니 그래도 다행이야
2407 시즌 - 책 <마인드 체인지>
1년 전
[빌드업에 감탄하다]
머릿글을 제외하고 20개의 장, 번역서 기준 321쪽으로 구성된 본문과 81쪽에 달하는 주석(결국 주석을 꼼꼼히 따라가면서 읽지는 못했다).
본문 중 1~4장은 쟁점의 정리에, 5~8장은 이후의 논지를 연결시키는 기반으로서 뇌와 마음에 대해, 9~12장은 소셜 네트워크, 13~15장은 게임, 16~19장은 구글(혹은... (더보기)
인스타와 마인드 체인지
2407 시즌 - 책 <마인드 체인지>
1년 전
최근 자영업을 시작하면서 안 하던 인스타그램을 억지로 시작했다.(ㅠㅠ) 그 전에도 계정은 있었지만 게시물을 거의 올리지 않았고, 관심 있는 단체나 매체의 소식을 업데이트하는 용도로만 사용하고 있었다. 인스타의 수동적 사용자에서 능동적 사용자로 탈바꿈한 것이다. 한 달 조금 넘게 써본 결과, 인스타는 게시물을 보는 사람뿐만 아니라 올리는 사람... (더보기)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하게 될까
2407 시즌 - 책 <마인드 체인지>
1년 전
나는 대체 경험으로서 게임, 사교 확장으로서의 소셜네트워크 사용을 옹호하는 편이다. 대학교 1학년 때 했던 경험 중 가장 짜릿하고 잊혀지지 않는 경험을 2가지 뽑자면,
동아리에서 40명과 함께 합창무대에 섰을 때, 월드오브워크래프트에서 25명과 함께 보스 몬스터를 잡았을 때이다. 전자는 현실의 일이고, 후자는 가상세상에서의 일이지만 둘 다 ... (더보기)
디지털 기술은 전에 없던 청각 자극도 불러 왔다구요
2407 시즌 - 책 <마인드 체인지>
1년 전
디지털 세상에 너무 빠진 뇌는 이마앞옆에 문제가 생긴다. 자극적인 비디오와 게임 세계에 비해 현실은 지루하게만 느껴진다.
디지털 기술이 바꿔놓은 우리 세상. 책은 디지털 기술 (폭력적인 게임 그래픽, 인터넷, 포르노, 스크린 등과 같은) 의 시각적인 자극과 그에 따른 우리 뇌의 변화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그렇다면, 디지털 기술의 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