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209개의 독후감이 올라왔습니다

참여하지 않은 시즌의 비공개 독후감은 보이지 않습니다

잘 소유하자

2407 시즌 - 책 <인간의 조건>
거인

8개월 전

노동,작업,행위….? 고대 폴리스에서 자유인들의 노동에서 벗어나기 위함은 공론 영역에서 정치적 행위를 하기 위해서였다고 하는데 속으로 이런 생각을 했다. ’노예가 있기에 시간적 여유가 있어서 가능했겠지….’ 현재는 내가 나의 노예이기에 정치적 행위를 하기엔 쉽지않는 것 같다라는…몹쓸 생각을 해본다.하하…. 현 시점 우리의 노동은 절대적이여서 벗어날 수 없고, 벗어나서도 안된다고 생각한다. (노예를 자처하는 것은 아니고, 나에게 노동과 작업이란 곧 나이기 때문이다.. 일을 할때 가장 보람되고 행복하며 제일 많은 시... (더보기)

'나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2407 시즌 - 책 <인간의 조건>
지니

8개월 전

<인간의 조건> -- 한나 아렌트     어렵다... 나름 철학을, 사유를 좋아한다고 생각했었는데.. 그런 것이 맞았나? 싶은 의구심이 들 정도로 저자의 말을 따라가기가 힘이 들었다. 너무 많은 양의 정보들이 쏟아져 나왔고 그 정보에 대한 개념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려워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주된 맥락을 놓치기 일쑤였다. 하나의 개념을 이해하지 못한 채 그다음 개념에서도 이해하지 못해 그렇게 쏟아지는 수많은 정보에 턱턱 걸려 넘어져 헤매며 겨우 반 정도를 읽은 것 같다.  무엇을 읽었는지 알 수가 없을 만큼 정리가 안... (더보기)

거창하지만은 않은 정치적 참여 행위에 대해서

2407 시즌 - 책 <인간의 조건>
이초록 2

8개월 전

이 책은 단어 하나, 문장 한 줄을 이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는 책이었다. 책을 덮고 나서도 이해하지 못한 문장들과 모호한 개념들이 머릿속을 둥둥 떠다니는 기분이 들었다. 결국, 몇 번이고 서문을 다시 읽으며 정리를 하고 나서야 각 활동이 조금이나마 이해되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안개가 낀 듯 흐릿한 부분이 많아, 독후감을 쓰고 있는 지금도 책을 뒤적거리며 이해하려고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한나 아렌트는 인간의 활동을 노동, 작업, 행위로 나누고, 이 세 가지 활동을 통해 인간이 실존할 수 있다고 말한다. 개인적으... (더보기)

나는 인간이고 싶지 않은 걸까?

2407 시즌 - 책 <인간의 조건>
왕밤이

8개월 전

인간의 조건은 일전에 KBS에서 꽤 재밌게 봤던 예능프로그램 제목이었다. 현대인의 필수 조건이라 여길만한 것들을 없애고 일주일 간 합숙하는 내용의 콘텐츠였다. 아마 기획했던 PD가 이 책을 읽었거나 제목을 차용했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인간으로 살아가야 할 조건이란 무엇인가? 제목 자체가 던지는 질문이 흥미로웠다. 일전에 읽었던 책들이 꽤 많이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이 언급해서 이 분의 책을 읽고 싶었는데, 이 책으로 한나 아렌트를 시작했으니, 앞으로 다른 책들은 오히려 술술 읽힐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든다... (더보기)

생각의 소용돌이

2407 시즌 - 책 <인간의 조건>
여오름

8개월 전

9월3일 (흐림) 책을 주문한지 1주일이 된 것 같은데 아직 도착을 안 했다. 페이지 수가 상당해 흔히 말하는 벽돌책에다가(색깔도 빨강색이다) 심오하다고 소문이 났기에 빨리 만나보고 싶다.  9월9일 (폭염) 책이 도착했다. 모서리가 찌그러져서 왔다. 맘이 아프다. 커버를 벗겨보니 좀 나은 듯하다. 인간이 되려면 필요한 조건들을 나열했을까? 어떤 조건들이 나올까? 책이 어렵다고 하는 것을 보면 조건들에 대한 설명이 익숙하지 않은 모양인가, 난 몇 가지 조건에 부합할까? 책을 펼치니 그림이 나온다. 글자들이 와르르 쏟... (더보기)

노동과 소비의 비대해진 역할과 어느새 퇴색된 행위의 가치와 진정한 자유의 의미까지

2407 시즌 - 책 <인간의 조건>
호떡

8개월 전

근현대의 일부에서 시작해 잠시 경험한 삶의 모습을 한 차원 벗어나 인간과 사회의 근본적인 DNA가 무엇인지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유용함과 효율성에서 파생되는 물질적 행복을 최고의 가치로 인식되는 삶에서 방법론에 치우친 지식 노예를 경계해야 한다는 생각과 노동 그 자체로는 인간 정신의 해방에 심각한 결핍이 있다고 생각했다. 노동에 대한 폭 넓고 복합적인 설명과 전개가 가장 흥미로웠다. 인간의 필연적 연결고리를 제공하는 노동을 우리는 왜 하찮게 여김과 동시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게 되었는가. 오늘도 아침 일찍 일어나 '... (더보기)

인간이 인간으로서 살아가기 위한. 그 무엇.

2407 시즌 - 책 <인간의 조건>
sunny

8개월 전

어떤 무엇에 조건(?)이 붙기 시작하는 순간, 자연스러움에서 벗어나는, 일부 작위적인 상황과 대면하게 된다. 이 책의 시작과, 끝이 ‘조건’이란 단어에 얽매여 파해치고자 했던 참 어렵고 지난한 과정이었다면, 단순히 생각하면 인간이 인간일 수 있는 건, 태어났기 때문이고, 그 어떤 이유보다 앞서는 것은 이 세상에 살고 있다는 것일 것이다.  노동은 일상의 생존을 위해 필수적이지만, 그 속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고, 작업은 인간의 창의적 활동을 통해 세상에 변화를 동반할 수 있다고 가정하며, 행위는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 (더보기)